[HTML+CSS+JavaScript] 눈누 웹 폰트 사용하기

  웹폰트(Web Font)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특정 폰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웹 페이지에서 원하는 폰트를 표시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웹 디자이너와 개발자는 다양한 폰트를 활용하여 웹사이트의 디자인과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눈누 웹폰트는 한국에서 인기 있는 무료 웹폰트 플랫폼입니다. 눈누는 디자이너, 개발자, 크리에이터들이 상업적 이용이 가능한 무료 폰트를 쉽고 빠르게 다운로드하거나 웹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저작권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어 특히 한국어 폰트를 찾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1. 눈누 폰트 웹사이트 접속하기 

  1) 브라우저에서 "눈누웹폰트"를 검색하여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바로가기
  2) 원하는 폰트를 선택합니다.
  3) 여기서는 넥슨 Lv.2 고딕을 선택하였습니다. 

   5) 복사 기능을 이용하여 소스를 복사하여 이용하시면 됩니다. 

※ 사용예시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Document</title>

  <!-- CSS 스타일 정의 -->
  <style>
    /* NEXON Lv2 Gothic 폰트를 외부에서 가져와서 정의 */
    @font-face {
        font-family: 'NEXON Lv2 Gothic';
        src: url('https://fastly.jsdelivr.net/gh/projectnoonnu/noonfonts_20-04@2.1/NEXON Lv2 Gothic.woff') format('woff');
        font-weight: normal; /* 폰트 굵기를 기본값으로 설정 */
        font-style: normal; /* 폰트 스타일을 기본값으로 설정 */
    }

    /* MaplestoryOTFBold 폰트를 외부에서 가져와서 정의 */
    @font-face {
        font-family: 'MaplestoryOTFBold';
        src: url('https://fastly.jsdelivr.net/gh/projectnoonnu/noonfonts_20-04@2.1/MaplestoryOTFBold.woff') format('woff');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    

    /* Bazzi 폰트를 외부에서 가져와서 정의 */
    @font-face {
        font-family: 'Bazzi';
        src: url('https://fastly.jsdelivr.net/gh/projectnoonnu/noonfonts_20-04@2.1/Bazzi.woff') format('woff');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    

    /* 본문 텍스트 기본 설정 */
    body {
      font-weight: 300; /* 기본 글꼴 두께 설정 */
    }

    /* NEXON Lv2 Gothic 폰트 적용 */
    p.font1 {
      font-family: "NEXON Lv2 Gothic", sans-serif;
    }

    /* MaplestoryOTFBold 폰트 적용 */
    p.font2 {
      font-family: "MaplestoryOTFBold", sans-serif;
    }

    /* Bazzi 폰트 적용 */
    p.font3 {
      font-family: "Bazzi", sans-serif;
    }
  </style>
</head>
<body>
  <!-- NEXON Lv2 Gothic 폰트를 적용한 섹션 -->
  <h3>넥슨 Lv.2 고딕</h3>
  <p class="font1">
    행정각부의 설치·조직과 직무범위는 법률로 정한다.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군을 통수한다.
  </p>

  <!-- MaplestoryOTFBold 폰트를 적용한 섹션 -->
  <h3>넥슨 메이플스토리</h3> <!-- <1/h3> 오타 수정 -->
  <p class="font2">
    행정각부의 설치·조직과 직무범위는 법률로 정한다.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군을 통수한다.
  </p>

  <!-- Bazzi 폰트를 적용한 섹션 -->
  <h3>넥슨 배찌체</h3>
  <p class="font3">
    행정각부의 설치·조직과 직무범위는 법률로 정한다.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군을 통수한다.
  </p>
</body>
</html>

♠ 결과 




 

[HTML+CSS+JavaScript]  CSS font-family 사용법

  font-family는 CSS에서 텍스트의 글꼴을 지정하는 데 사용하는 속성입니다. 이를 통해 텍스트를 원하는 글꼴로 스타일링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font-family의 사용법과 관련된 자세한 설명입니다.

 

※ 기본문법

font-family: <font1>, <font2>, <generic-family>;

<font1>, <font2>, ...: 우선순위에 따라 <font1> 글꼴을 설정합니다. <font1> 글꼴이 사용 불가능하면 다음 순서인 <font2>글골을 지정합니다. 
<generic-family>: 브라우저가 지원하지 않는 글꼴이 모두 실패했을 때 사용하는 기본 글꼴 계열을 지정합니다.

 

※ 글꼴 이름 작성 규칙

단일 단어인 글꼴 이름: 따옴표 없이 사용.
예: Arial, Verdana
공백이 포함된 글꼴 이름: 따옴표로 묶어야 함.
예: "Times New Roman", "Comic Sans MS"

 

※ Generic Family 종류

serif: 각 글자의 끝에 장식이 있는 글꼴 계열.
예: Times New Roman, Georgia
sans-serif: 장식이 없는 깨끗한 글꼴 계열.
예: Arial, Helvetica
monospace: 모든 글자가 동일한 너비를 가짐.
예: Courier New, Consolas
cursive: 필기체 스타일.
예: Comic Sans MS, Pacifico
fantasy: 장식적이고 장난스러운 글꼴 계열.
예: Papyrus, Jokerman

 

웹 폰트 사용 

▶ 웹 폰트를 사용하면 다양한 글꼴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구글 폰트 사용 예시입니다.

<style>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Noto+Sans+KR:wght@100..900&display=swap');

  body {
    font-family: "Noto Sans KR", serif;
  }
</style>

 

▶ 사용 예시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
    <title>Document</title>
    <style>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Noto+Sans+KR:wght@100..900&display=swap");
      .type01 {
        font-family: "Noto Sans KR", sans-serif;
      }
      .type02 {
        font-family: "Georgia", Times, serif;
      }
      .type03 {
        font-family: "Courier New", Courier, monospace;
      }
    </style>
  </head>
  <body>
    <div class="type01">font-family Noto Sans KR 사용 예제입니다.</div>
    <div class="type02">font-family Georgia 사용 예제입니다.</div>
    <div class="type03">font-family Courier New 사용 예제입니다.</div>
  </body>
</html>

♠ 결과


※  font-family는 웹 디자인의 기본 요소로, 사용자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가독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글꼴 계열과 대체 글꼴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한 경우 웹 폰트를 활용해 더 많은 옵션을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HTML+CSS+JavaScript]  CSS 텍스트(text) 관련 속성

  CSS에서 텍스트를 다루는 것은 웹 페이지의 가독성과 디자인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다양한 텍스트 관련 속성을 활용하여 텍스트의 크기, 색상, 스타일, 정렬 등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1. 텍스트의 기본적인 스타일링

font-family: 텍스트에 사용할 글꼴을 지정합니다. 시스템에 설치된 글꼴이나 웹폰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ont-size: 텍스트의 크기를 지정합니다. px, em, rem 등 다양한 단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ont-weight: 텍스트의 굵기를 지정합니다. bold, bolder, lighter, 100~900 숫자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ont-style: 텍스트의 스타일을 지정합니다. normal, italic, oblique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lor: 폰트의 색상을 지정합니다

▶ 예제 소스

<!DOCTYPE html>
<html>
<head>
  <style>
    p {
      /* 글꼴 설정: Arial 폰트를 우선 사용하고, Arial이 없을 경우 sans-serif 계열 폰트를 사용 */
      font-family: Arial, sans-serif;

      /* 글자 크기 설정: 텍스트 크기를 16픽셀로 고정 */
      font-size: 16px;

      /* 글자 굵기 설정: 텍스트를 굵게 표시 */
      font-weight: bold;

      /* 글자 스타일 설정: 텍스트를 기울임체로 표시 */
      font-style: italic;
    }
  </style>
</head>
<body>
  <!-- CSS 스타일이 적용된 단락 -->
  <p>이 문장은 설정된 스타일이 적용된 텍스트입니다.</p>
</body>
</html>

♠ 결과



 

 

 

[HTML+CSS+JavaScript] CDN  URL 모음 

 

1. jQuery CDN

<!-- jQuery CDN -->
<script src="https://code.jquery.com/jquery-3.5.1.min.js"></script>

<!-- jQuery UI CDN -->
<script src="https://code.jquery.com/ui/1.12.1/jquery-ui.min.js"></script>

 

2. Web Font

/* Google Web Fonts CDN */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Noto+Sans+KR:300,400,500,700,900&display=swap');
font-family: 'Noto Sans KR', sans-serif;

/* Google Web Font */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Raleway&display=swap');
font-family: 'Raleway', sans-serif;

/* Google Web Font */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Montserrat:300,400,500&display=swap');
font-family: 'Montserrat', sans-serif;

/* Google Web Font */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Roboto:wght@100;300;400;500;700;900&display=swap');
font-family: 'Roboto', sans-serif;

/* Google Web Font */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Source+Sans+Pro:wght@300;400;600;700;900&display=swap');
font-family: 'Source Sans Pro', sans-serif;

/* Noonnu Korean Fonts */
@font-face {
  font-family: 'GmarketSansLight';
  src: url('https://cdn.jsdelivr.net/gh/projectnoonnu/noonfonts_2001@1.1/GmarketSansLight.woff') format('woff');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

 

2. Web ICon

/* Fontawesome 4.7 */
@import url('https://stackpath.bootstrapcdn.com/font-awesome/4.7.0/css/font-awesome.min.css');

/* XEION CDN */
@import url('http://cdn.jsdelivr.net/npm/xeicon@2.3.3/xeicon.min.css');

 

3. Reference URL

FontAwesome 4.7 CheatSheet
https://fontawesome.bootstrapcheatsheets.com/

FontAwesome 4.7 Official Website
https://fontawesome.com/v4.7.0/icons/

XEICON Ver2.3.3
https://xpressengine.github.io/XEIcon/

Web Gradients
https://webgradients.com/

W3 Schools Color Picker
https://www.w3schools.com/colors/colors_picker.asp

Flat UI colors
https://flatuicolors.com/

Social Colors
https://www.materialui.co/socialcolors

눈누 한글 폰트
https://noonnu.cc/

 

 

[HTML+CSS+JavaScript] side bar(사이드바) 보이고 감추기

  HTML, CSS, JavaScript를 사용하여 사이드바 메뉴를 구현한 예제입니다.

사이드바는 체크박스를 활용하여 열리고 닫히며, Font Awesome 아이콘을 사용하여 메뉴 버튼이 열리고 닫히는 상태를 시각적으로 나타냅니다.

 

1. 참고 페이지

▶ icon 클릭시 동적으로 icon 변경하기 

 

[HTML+CSS+JavaScript] icon 클릭시 동적으로 변경하기

[HTML+CSS+JavaScript] icon 클릭시 동적으로 변경하기  HTML에서 icon을 클릭했을 때  다른 icon으로 변경하는 예제입니다. 아이콘은 Font Awesome를 이용합니다. 1. 참고 페이지▶ Font Awesome icon 사용하는

happyldh.tistory.com

 

2. icon 클릭시 side bar 보이고 감추기 

▶ 전체 소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
    <title>Document</title>
    <!-- Font Awesome CSS를 불러옵니다. -->
    <link
      rel="stylesheet"
      href="https://stackpath.bootstrapcdn.com/font-awesome/4.7.0/css/font-awesome.min.css"
    />
    <style>
      /* .boxOpen 클래스: 열림 상태를 나타냅니다. Font Awesome의 .fa-bars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
      .boxOpen::before {
        content: "\f0c9"; /* Font Awesome에서 .fa-bars의 유니코드 값 */
        font-family: fontAwesome; /* Font Awesome 폰트를 지정 */
      }

      /* .boxClose 클래스: 닫힘 상태를 나타냅니다. Font Awesome의 .fa-times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
      .boxClose::before {
        content: "\f00d"; /* Font Awesome에서 .fa-times의 유니코드 값 */
        font-family: fontAwesome; /* Font Awesome 폰트를 지정 */
      }

      /* 체크박스가 선택되었을 때(sidebar 열림 상태)의 스타일 */
      input[id="trigger"]:checked ~ .sidebar {
        left: 0; /* 사이드바를 화면의 왼쪽에 위치시킴 */
      }

      /* 체크박스가 선택되었을 때(label의 위치 변경) */
      input[id="trigger"]:checked + label {
        left: 220px; /* 메뉴 버튼을 사이드바 밖으로 이동 */
      }

      /* 체크박스 자체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도록 숨깁니다. */
      input[id="trigger"] {
        display: none;
      }

      /* 메뉴 버튼의 기본 스타일 */
      label[for="trigger"] {
        /* 메뉴 버튼의 크기와 위치를 지정 */
        width: 30px;
        height: 20px;
        display: block;
        position: relative;
        top: 0px;
        left: 0px;
        cursor: pointer; /* 클릭 가능한 커서를 표시 */
        transition: 0.3s; /*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드럽게 적용 */
        z-index: 1000; /* 사이드바 위에 표시되도록 z-index 설정 */
      }

      /* 사이드바 기본 스타일 */
      .sidebar {
        width: 250px; /* 사이드바의 너비 */
        height: 100vh; /* 화면 전체 높이를 차지 */
        background-color: teal; /* 배경색 */
        position: fixed; /* 화면에 고정 */
        top: 0; /* 화면 상단에 위치 */
        left: -250px; /* 기본적으로 화면 왼쪽 밖으로 숨김 */
        transition: 0.3s; /*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드럽게 적용 */
      }
    </style>
    <script>
      /**
       * changeImg 함수는 메뉴 버튼의 상태를 변경하는 역할을 합니다.
       * - "boxOpen" 클래스와 "boxClose" 클래스를 토글(toggle)하여 버튼 상태를 변경합니다.
       */
      function changeImg() {
        // id가 "triggerLab"인 요소를 가져옵니다.
        var div = document.getElementById("triggerLab");
        // 요소가 "boxOpen" 클래스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if (div.classList.contains("boxOpen")) {
          // "boxOpen" 클래스가 있으면 이를 제거하고 "boxClose" 클래스를 추가합니다.
          div.classList.remove("boxOpen");
          div.classList.add("boxClose");
        } else {
          // "boxOpen" 클래스가 없으면 "boxClose" 클래스를 제거하고 "boxOpen" 클래스를 추가합니다.
          div.classList.remove("boxClose");
          div.classList.add("boxOpen");
        }
      }
    </script>
  </head>
  <body>
    <div class="container">
      <!-- 체크박스: 사이드바의 열림/닫힘 상태를 제어 -->
      <input type="checkbox" id="trigger" onclick="changeImg()" />
      <!-- 사이드바를 열고 닫는 버튼(label) -->
      <label for="trigger" class="boxOpen" id="triggerLab"></label>
      <!-- 숨겨진 상태로 시작하는 사이드바 -->
      <div class="sidebar"></div>
    </div>
  </body>
</html>

♠ 결과

 

 

[HTML+CSS+JavaScript] icon 클릭시 동적으로 변경하기

  HTML에서 icon을 클릭했을 때  다른 icon으로 변경하는 예제입니다. 

아이콘은 Font Awesome를 이용합니다.

 

1. 참고 페이지

▶ Font Awesome icon 사용하는 방법 

 

[HTML+CSS+JavaScript] icon(아이콘)이 필요할 때 - Font Awesome 사용하기

[HTML+CSS+JavaScript] icon(아이콘)이 필요할 때 - Font Awesome 사용하기 Font Awesome은 웹에서 다양한 아이콘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CSS 라이브러리입니다. Font Awesome 6버전까지 출시가 되었어도 아

happyldh.tistory.com

▶ 이미지 동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HTML+CSS+JavaScript] 이미지 동적으로 변경하기 - 버튼 클릭 방법

[HTML+CSS+JavaScript] 이미지 동적으로 변경하기 - 버튼 클릭 방법  HTML에서 버튼을 클릭했을 때 이미지를 동적으로 변경하려면 JavaScript를 사용하여 이미지의 src 속성을 업데이트하면 

happyldh.tistory.com

 

2. icon 클릭시 다른 icon으로 변경하기 

▶ 전체 소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
    <title>Document</title>
    <link
      rel="stylesheet"
      href="https://stackpath.bootstrapcdn.com/font-awesome/4.7.0/css/font-awesome.min.css"
    />
    <style>
      #box {
        cursor: pointer;
      }
      .boxOpen::before {
        content: "\f0c9"; /* f0c9은 fontawesome에서 .fa-bars의 유니코드 */
        font-family: fontAwesome; /* fontAwesome는 fontawesome에서 사용하는 폰트 */
      }
      .boxClose::before {
        content: "\f00d";  /* f00d fontawesome에서 .fa-times의 유니코드 */
        font-family: fontAwesome; /* fontAwesome는 fontawesome에서 사용하는 폰트 */
      }
    </style>
    <script>
        // changeImg 함수는 div 요소의 클래스를 변경합니다.
        function changeImg() {
            // id가 "box"인 div 요소를 가져옵니다.
            var div = document.getElementById("box");
            // div 요소에 "boxOpen" 클래스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if (div.classList.contains("boxOpen")) {
                // "boxOpen" 클래스가 있으면 "boxOpen" 클래스를 제거하고 "boxClose" 클래스를 추가합니다.
                div.classList.remove("boxOpen");
                div.classList.add("boxClose");
            } else {
                // "boxOpen" 클래스가 없으면 "boxClose" 클래스를 제거하고 "boxOpen" 클래스를 추가합니다.
                div.classList.remove("boxClose");
                div.classList.add("boxOpen");
            }
        }
    </script>
  </head>
  <body>
    <div id="box" class="boxOpen" onclick="changeImg()"></div>
  </body>
</html>

♠ 결과 

 

 

 

 

 

[HTML+CSS+JavaScript] 이미지 동적으로 변경하기 - 버튼 클릭 방법

  HTML에서 버튼을 클릭했을 때 이미지를 동적으로 변경하려면 JavaScript를 사용하여 이미지의 src 속성을 업데이트하면 됩니다. 

  
document.getElementById("img").src = "image.jpg";

 

1. 예제 html 문서 

bg01.jpg
0.29MB
bg02.jpg
0.50MB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
    <title>Document</title>
    <style>
      .container {
        width: 500px;
        height: 500px;
        text-align: center;
      }
      #img {
        width: 300px;
        height: 300px;
      }
    </style>
  </head>
  <body>
    <div class="container">
      <img id="img" src="bg01.jpg" />
      <br />
      <button>이미지 변경하기</button>
    </div>
  </body>
</html>

>>> 결과 <<<

2. Button를 클릭하면 이미지 변경하기

  1) javascript 함수를 생성합니다. 

    이미지를 바꾸는 기능을 수행하는 함수를 생성합니다.

<script>
      // changeImg 함수는 img 요소의 이미지를 변경합니다.
      function changeImg() {
        // img 요소를 id로 가져옵니다.
        var img = document.getElementById("img");
        // img 요소의 src 속성을 "bg02.jpg"로 변경합니다.
        img.src = "bg02.jpg";
      }
</script>

 2) 이벤트 핸들러와 함수 연결

    button의 onclick 이벤트 핸들러에 changeImg() 함수를 전달해 주면 됩니다.

<button onclick="changeImg()">이미지 변경하기</button>

 

 3) 전체 소스보기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
    <title>Document</title>
    <style>
      .container {
        width: 500px;
        height: 500px;
        text-align: center;
      }
      #img {
        width: 300px;
        height: 300px;
      }
    </style>
    <script>
      // changeImg 함수는 img 요소의 이미지를 변경합니다.
      function changeImg() {
        // img 요소를 id로 가져옵니다.
        var img = document.getElementById("img");
        // img 요소의 src 속성을 "bg02.jpg"로 변경합니다.
        img.src = "bg02.jpg";
      }
    </script>
  </head>
  <body>
    <div class="container">
      <img id="img" src="bg01.jpg" />
      <br />
      <button onclick="changeImg()">이미지 변경하기</button>
    </div>
  </body>
</html>

>>> 결과 <<<


3. Button를 클릭하면 이미지 토글하기

    버튼을 클릭할때마다 2개의 이미지가 번갈아 가면서 보이게 합니다.
    javascript 함수를 다음과 같이 변경하면 됩니다. 

    <script>
      // changeImg 함수는 img 요소의 이미지를 변경합니다.
      function changeImg() {
        // img 요소를 id로 가져옵니다.
        var img = document.getElementById("img");
        // img 요소의 src 속성이 "bg01.jpg"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if (img.src.includes("bg01.jpg")) {
          // "bg01.jpg"를 포함하고 있으면 "bg02.jpg"로 변경합니다.
          img.src = "bg02.jpg";
        } else {
          // "bg01.jpg"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bg01.jpg"로 변경합니다.
          img.src = "bg01.jpg";
        }
      }
    </script>

  전체 소스입니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
    <title>Document</title>
    <style>
      .container {
        width: 500px;
        height: 500px;
        text-align: center;
      }
      #img {
        width: 300px;
        height: 300px;
      }
    </style>
    <script>
      // changeImg 함수는 img 요소의 이미지를 변경합니다.
      function changeImg() {
        // img 요소를 id로 가져옵니다.
        var img = document.getElementById("img");
        // img 요소의 src 속성이 "bg01.jpg"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if (img.src.includes("bg01.jpg")) {
          // "bg01.jpg"를 포함하고 있으면 "bg02.jpg"로 변경합니다.
          img.src = "bg02.jpg";
        } else {
          // "bg01.jpg"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bg01.jpg"로 변경합니다.
          img.src = "bg01.jpg";
        }
      }
    </script>
  </head>
  <body>
    <div class="container">
      <img id="img" src="bg01.jpg" />
      <br />
      <button onclick="changeImg()">이미지 변경하기</button>
    </div>
  </body>
</html>

4. Button를 클릭하면 여러 이미지 순환하기 

    버튼을 클릭할때마다 여러개의 이미지가 번갈아 가면서 보이게 합니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
    <title>Document</title>
    <style>
      .container {
        width: 500px;
        height: 500px;
        text-align: center;
      }
      #img {
        width: 300px;
        height: 300px;
      }
    </style>
  </head>
  <body>
    <div class="container">
      <img id="img" src="bg01.jpg" />
      <br />
      <button onclick="changeImg()">이미지 변경하기</button>
    </div>
    <script>
      // script위치를 header태그에서 body태그 맨 아래로 이동합니다.

      const img = document.getElementById("img");
      // 이미지 배열
      // 이미지를 추가하려면 배열에 이미지 파일명을 추가하면 됩니다.
      const images = ["bg01.jpg", "bg02.jpg", "bg03.jpg"];
      let currentIndex = 0;

      function changeImg() {
        // 다음 이미지로 이동, 나머지 연산자를 사용하여 순환
        // 이미지 배열의 길이를 넘어가면 0으로 초기화
        // 이렇게 하면 이미지 갯수에 상관없이 이미지가 순환하게 됩니다.
        currentIndex = (currentIndex + 1) % images.length;
        img.src = images[currentIndex];
      }
    </script>
  </body>
</html>

 

 

 

더미 텍스트를 쉽게 만들자 - 로렘 입숨(Lorem Ipsum), 한글입숨

  로렘 입숨은 디자인이나 웹 개발 시 실제 내용이 들어가기 전에 자리만 채우기 위해 사용하는 의미 없는 라틴어 텍스트입니다. 마치 한글 문서에서 '가나다라마바사'를 반복하며 자리를 채우는 것과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  로렘 입숨 사이트   바로가기

▶  한글 로렘입숨 사이트 바로가기 (1사이트2사이트3사이트
   - 구글에서 한글입숨으로 검색하면 여러 사이트가 나옵니다. 

 

 

※ 로렘 입숨(Lorem Ipsum)이란 무엇일까요?

로렘 입숨은 디자인이나 웹 개발 시 실제 내용이 들어가기 전에 자리만 채우기 위해 사용하는 의미 없는 라틴어 텍스트입니다. 마치 한글 문서에서 '가나다라마바사'를 반복하며 자리를 채우는 것과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왜 로렘 입숨을 사용할까요?

  • 디자인 시안 제작: 실제 내용이 들어가기 전에 디자인 레이아웃을 미리 확인하고 수정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폰트 및 타이포그래피 확인: 다양한 폰트와 글자 크기, 줄 간격 등을 적용하여 어떤 조합이 가장 보기 좋은지 시험해 볼 수 있습니다.
  • 페이지 레이아웃 검토: 이미지, 표 등 다른 요소들과 함께 텍스트가 어떻게 배치되는지 확인하고 조정합니다.

 

두 파일(텍스트)의 차이점을 비교하는 강력한 도구 - Diffchecker

  Diffchecker는 두 개의 텍스트 파일, 코드 파일, 또는 문서 파일의 차이점을 쉽고 빠르게 비교할 수 있는 온라인 도구입니다. 개발자, 작가, 번역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며, 특히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변경된 부분을 파악하거나, 두 문서의 내용을 비교해야 할 때 효과적입니다.  

※ Diffchecker 사용법 

1. Diffchecker 웹사이트 접속: 웹 브라우저에서 Diffchecker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 바로가기 )
2. 문서 비교: 비교하고자 하는 두 개의 문서를 텍스트 공간에 입력합니다. 파일을 업로드하여 비교할 수도 있습니다.
3. Find Difference 버튼을 누르면 끝~~ 

 

※ Diffchecker 사용법 

1. Diffchecker 웹사이트 접속: 웹 브라우저에서 Diffchecker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 바로가기 )


2. 문서 비교: 비교하고자 하는 두 개의 문서를 텍스트 공간에 입력합니다. 파일을 업로드하여 비교할 수도 있습니다.


3. Find Difference 버튼을 누르면 끝~~ 

4. 차이점을 비교하면 됩니다. 

 

 

 

[spring boot] mybatis - mariadb application.yml 설정 

 spring boot 3.3.6 version에서의 설정 예제입니다. 

 

Dependencies에 MyBatis Framework와 MariaDB Driver 가 추가 하면 
build.gradle 에 dependencies에 아래와 같이 추가됩니다.

 

	// build.gradle dependencies
    
	implementation 'org.mybatis.spring.boot:mybatis-spring-boot-starter:3.0.3'
	runtimeOnly 'org.mariadb.jdbc:mariadb-java-client'
	testImplementation 'org.mybatis.spring.boot:mybatis-spring-boot-starter-test:3.0.3'

 

추가 후 프로젝트를 Run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application.properties, 또는 
application.yml에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해 주어야 합니다.

 

# application.yml
# 서버 설정
server:
  port: 80  # 서버가 실행될 포트를 지정합니다. 여기서는 80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 Spring 프레임워크 설정
spring:
  datasource:  #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설정합니다.
    url: jdbc:mariadb://localhost:3306/databasename  # MariaDB 데이터베이스 연결 URL. databasename`라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합니다.
    username: username  # 데이터베이스 접속에 사용할 사용자 이름입니다.
    password: password  # 데이터베이스 접속에 사용할 비밀번호입니다.

# MyBatis 설정
mybatis:
  configuration:
    map-underscore-to-camel-case: true  # 데이터베이스 필드 이름이 snake_case일 경우 Java 객체 필드 이름과 자동으로 매핑(camelCase)하도록 설정합니다.
  mapper-locations: classpath:mapper/**/*.xml  # MyBatis 매퍼 파일(.xml)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