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docker)] docker-compose를 이용하여 react app 서버 설치 및 개발 환경 구성하기
🖥️ Dockerfile를 이용하여 react app 서버 설치 및 개발 환경 구성하기
[도커(docker)] Dockerfile를 이용하여 react app 서버 설치 및 개발 환경 구성하기
[도커(docker)] Dockerfile를 이용하여 react app 서버 설치 및 개발 환경 구성하기📢 작성순서 📌 로컬에서 react app 설치 및 환경구성 📌 Dockerfile 파일 작성📌 Docker image 빌드📌 Do
happyldh.tistory.com
💡이전글에서 Dockerfile 파일과 docker build 명령어와 docker run 명령어를 이용하여 서버 설치 및 환경 구성했는데 docker-compose를 이용하면 한번에 설치 및 구성을 할 수 있습니다.
📌docker-compose를 이용하여 react app 서버 설치 및 개발 환경 구성하기
📝 docker-compose.yml 파일 생성
version: '3'
services:
react:
build:
context: .
dockerfile: Dockerfile.dev
ports:
- "3000:3000"
volumes:
- /usr/src/app/node_modules
- .:/usr/src/app
stdin_open: true
👉 파일내용에 대한 설명입니다.
version: '3' # 사용할 Docker Compose 파일의 버전 (v3)
services:
react: # 'react'라는 이름의 서비스 정의
build:
context: . # 현재 디렉터리를 빌드 컨텍스트로 사용
dockerfile: Dockerfile # React 개발을 위한 Dockerfile 지정 (Dockerfile)
# 포트 매핑으로 로컬에서 React 개발 서버 접속 가능
ports:
- "3000:3000" # 호스트의 3000번 포트를 컨테이너의 3000번 포트와 연결 (React 개발 서버용)
# 로컬 코드 변경 사항을 컨테이너에 자동 반영
# volumes 설정 덕분에 이미지 빌드를 하지 않고 코드를 수정하면 바로 반영됩니다.
# 단, 서버는 재실행해야 반영됩니다.
volumes:
# 컨테이너 내부의 node_modules 폴더는 유지하여, 로컬 파일과 충돌 방지
- /usr/src/app/node_modules
# 현재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컨테이너의 /usr/src/app에 마운트 (소스 코드 실시간 반영)
- .:/usr/src/app
#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 표준 입력을 열어 인터랙티브 모드 활성화
# react 서버 구성시 사용
stdin_open: true
📝 이미지 빌드 및 서버 실행
docker-compose up
👉 실행결과입니다.
🚀 지금까지 docker compose를 이용한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Server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docker)] Dockerfile를 이용하여 react app 서버 설치 및 개발 환경 구성하기 (0) | 2025.02.21 |
---|---|
[도커(docker)] docker build 명령어 사용법 - Dockerfile (0) | 2025.02.21 |
[도커(docker)] Docker Compose로 Node.js Express 서버와 Redis 연동하기 (0) | 2025.02.19 |
[도커(docker)] Dockerfile를 이용하여 nodejs & express 서버 설치 및 개발 환경 구성하기 (0) | 2025.02.12 |
[도커(docker)] 도커에 MariaDB 설치 및 실행하기 (2) | 2025.02.05 |